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OpenAI社의 챗GPT ChatGPT 개념과 정의

by 꼬미랑코코랑 2023. 2. 14.

OpenAI社의 챗GPT ChatGPT 개념과 정의

*AI : Artificial Intelligence(인공 지능)

 

<출처 : forbes.com>

 

OpenAI는 샘 알트먼(Sam Altman)에 의해 2015년 12월에 설립된 회사로서, 초기 창립멤버로는 구글 브레인, 페이팔, LinkedIn 등의 유명 회사 출신들로 이루어져 있으며, 특히 일론 머스크(Elon Musk)가 Co-chairs(공동 의장)이다.

 

이들 창립멤버들의 초기 투자 금액의 합은 $1 billion(10억 달러, 1.2조원)이 될 정도로 초기 단계부터 출발이 매우 좋았다고 할 수 있다.

 

OpenAI는 비영리단체 및 오픈소스* 를 지향하며 거대한 항공모함을 출항시켰고, 이들이 목표하는 바는 "Advanced Digital Intelligence(상급디지털정보)을 통하여 인류 전체에 Benefit(혜택)을 주는 것"으로, IT 기술의 궁극적 목표를 이루려고 하는 역사의 한 획을 긋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만 같다.

 

*오픈소스(Open Source) : 소프트웨어 구성근원이 되는 코딩 설계도를 무상으로 인터넷 등에 배포 및 공개하고, 이를 다시 재배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

 


ChatGPT란?

더보기

Chat : 채팅(대화)

GPT(Generative pre-trained Transformer) : 사전에 입력된 Data들을 토대로 스스로 프로그래밍(알고리즘화) 하는 것

  * 알고리즘(Algorithm) : 주어진 입력값(input)의 논리적인 해결을 위해 필요한 방법, 절차, 명령어들을 모아놓은 것

 

ChatGPT란 간단히 말해서, 컴퓨터랑 '대화'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인 것이다.

 

예로 들자면, chatGPT는 언제 만들어졌어? 라던가, 2010년부터 한국의 인구 변화 추세에 대해 알려줘. 라고 하면

 

아래와 같은 대답을 얻을 수 있다.

 

 

 

간단한 질문에 대한 대답은 물론, 상당한 지식(?)을 뽐내며 전문가스러운 답변까지 하기도 한다.

 

물론 chatGPT 메인화면에서도 '정확한' 답변은 아닐수 있다. 라고 명시를 해놓긴 했지만, 저 정도 수준의 출력값이 나오는 걸 보면 꽤 충격적이고 놀라운 결과값이다. 우리가 어떤 주제에 대해 Searching 할때 오랜 시간동안 많은 노력을 들이고 정제해야 나올 수 있는 결론을 chatGPT는 어느정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.

 

이에 대한 원리를 설명 드리자면, GPT의 용어에 대해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.

GPT(Generative pre-trained Transformer) : 사전에 입력된 Data들을 토대로 스스로 프로그래밍(알고리즘화) 하는 것

 

1. 사전에 openAI 개발자들이 컴퓨터 로직을 짤때(코딩), 수만가지의 주제별 데이터들을 컴퓨터에다 집어넣는다.

2. 그러면 그 데이터들을 가지고 컴퓨터는 기계학습(Machine Learning)을 한다. 이 때, 그 데이터들을 서로 비교해가며 차이가 나는 특징(Features)들을 구분해 낸다.

3. 이를 모델링(Modeling) 또는 Software화 된다고 말한다.

4. 기계학습이 된 소프트웨어에(ex. chatGPT) 나의 입력값(질문)을 넣게 되면, 컴퓨터는 2번에서 유형화된 카테고리에서 Sorting 작업을 수 없이 거쳐, 학습화 된 또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있는 것 중에서 최선의 답변을 내놓게 되는 것이다.

 

<데이터를 기반으로 Machine Learning 된 AI의 결과값 산출 도식>

 

 

*소프트웨어(Software) : 우리가 기계 또는 컴퓨터에게 원하는 작업을 시키려면 소위 코딩(Coding)이라는 것을 해야 한다. 컴퓨터가 알아 들을 수 있게 컴퓨터의 언어(C 언어, JAVA 등)로 설계 해주는 것인데, 이런 코딩들을 개발자 분들이 해주시면 이를 프로그래밍 또는 프로그램화 한다고 얘기한다. 그 결과물이 바로 소프트웨어(Software)이다.

 


ChatGPT의 특별한 기술

 

ChatGPT만의 선도적 기술은 바로 '스스로' 공부한다는 것이다.

 

일반적인 인공지능 프로그래밍과 같이 다량의 데이터를 때려넣는다는 것은 동일하다. 그 후 AI가 산출한 Output 값에 대해 개발진들이 칭찬/꾸중의 피드백을 해 줘야 일반AI들은 '아 그렇구나' 하고 다시 학습하기 시작한다. 인간이 교정을 해주는 것이다.

 

하지만, ChatGPT 는 입력된 데이터들에 대해 '스스로' 특징을 찾아낸다.(어떻게 해서 그게 가능한건지는 OpenAI의 영업비밀일 것이다). 더불어 OpenAI 개발진들은 그 결과값에 대해 평가할때 '좋은' 질문과 답변을 chatGPT에 알려준다.(Fine Tuning)

 

이번 2023년 2월 즈음에 GPT 4.0을 출시하겠다고 발표했었는데 어떻게 될지, 어떤 모습일지에 대해서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. 현 시점 기준으로 OpenAI 개발진들은 열심히 AI를 다듬고 있을 것이다.

 

 

댓글